제목이 들어갑니다.

기사 요약글

매거진 요약이 들어갑니다.

기사 내용

2019 전성기 리서치. 이번 주제는 ‘퇴직한 다음 날’입니다. 대한민국 중년에게 퇴직은 어떤 의미일까요? 김난도 교수가 이끄는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 오늘을 사는 중년들의 퇴직 후 삶을 조사해 의미 있는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1, 2편에 이어 3편에서는 퇴직한 이후 퇴직자들은 일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짚어봤습니다.

Q. 퇴직 후 생활에 어느 정도 동의하나요?(5점 만점)

여성이 남성보다 혼자만의 시간을 갖길 원한다

→ 퇴직 후 생활 중 ‘배가 나오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는 말에 가장 많이 동의했다. 건강관리에 힘쓰겠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여성이 남성보다 혼자 있길 원한다는 점이다.

Q. 퇴직한 직후 무엇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나요?

퇴직 후 해야 할 일 1순위는 휴식과 재충전이다

→ 연령별로 분석하면 45~54세는 휴식과 재충전을, 55세 이상은 취미나 활동 찾기를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45~54세는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 위해 재충전 시간으로, 55세 이상은 앞으로의 삶을 재미있게 보낼 뭔가를 발견하는 시간으로 삼으려고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Q. 퇴직 후 생활이 어떻게 변화했나요?

퇴직한 남성은 자발적으로 가사일에 참여하는 횟수가 늘었다

→ 퇴직 후 생활 변화를 묻는 질문에서는 남성이 설거지, 청소 등 자발적으로 가사일에 참여하는 횟수가 늘어난 점이 눈길을 끈다. 남성은 또 ‘가족구성원들의 눈치를 보게 되었다’ ‘모임에 나가는 것이 부담스럽다’ ‘명함이 없어서 아쉬울 때가 있다’에 높은 점수를 줬다.

Q. 명함이 없어서 아쉬울 때가 있다?(5점 만점)

워커홀릭형과 재학생형은 ‘명함’을 원한다

→ 자기개발과 일에 관심이 많은 워커홀릭형과 재학생형은 누군가에게 자신을 소개할 명함을 원했다. 뭔가 하고 있는 것에서 존재 이유를 찾고 이를 통해 남에게 보여지길 원하는 두 유형의 특징을 보여주는 결과다. 한편 모임의 중심에서 어울리기를 좋아하는 핵인싸형은 배우자와 함께하는 활동을 늘리는 것에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Q. 유형에 따라 퇴직 후 느낀 기분은 어떻게 다른가요?

관계 지향적인 사람일수록 퇴직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 유형별로 퇴직 당시의 기분을 분석하면 핵인싸형과 꽃보다집형은 후련함을, 워커홀릭형과 청산별곡형은 상실감을 크게 느꼈다. 즉 관계나 취미 지향적인 사람일수록 퇴직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 지향적인 사람일수록 퇴직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난도 교수는 퇴직한 다음 날 꼭 필요한 것으로 명함을 꼽았다. 회사나 직급이 빠진 대신 나를 드러내는 인생 명함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아마추어 당구선수’ ‘등산 애호가’처럼 내가 좋아하는 것이나 취미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명함을 만드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은퇴했더라도 자기정체성을 보여주는 명함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Q. 유형별 행복도 변화는?

퇴직 이후 행복 지수는 관계가 결정한다

→ 핵인싸 · 꽃보다집형은 재직 중보다 현재 행복도가 높아진 반면, 청산별곡 · 워커홀릭· 재학생형은 재직 중보다 현재 행복도가 낮았다. 특히 청산별곡형은 퇴직으로 인한 ‘행복의 낙차’를 가장 크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핵인싸형은 행복도가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앞으로의 행복도를 묻는 질문에서도 유사한 답변이 나왔다. ‘갈수록 더욱 행복해지는 것 같다’는 응답은 핵인싸형(32%)이 가장 많았고, ‘나이 들면서 행복할 일들이 줄어드는 것 같다’는 응답은 워커홀릭형(31%)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았다. 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일이 아니라 관계에서 행복을 찾는 사람들의 행복도가 높게 나타났다”며 “노후의 행복 역시 관계에서 온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풀이했다.

기획 이인철 사진 셔터스톡

댓글
댓글